2014년 7월 21일 월요일

Two Moons Passing in the Martian Night



화성 주위의 감자처럼 생긴 달 두개. 큰 건 포보스, 작은 건 데이모스.
달이라고 모두 둥근 건 아님을 실증.
화성 탐사선 Curiosity (큐리오시티)가 2013년 촬영.


화성의 달 포보스가 화성 궤적을 돌며 해를 가리는 일식 진행 동영상
(출처: NASA)


화성의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 관찰과 생성이론
(출처: 독일 항공우주센터)

2014년 7월 19일 토요일

2014년 7월 18일 금요일

남성과 여성의 지리학 (유머)


THE GEOGRAPHY OF WOMAN AND MEN

The Geography of a Woman

Between 18 and 22, a woman is like Africa . Half discovered, half wild, fertile and naturally Beautiful!
Between 23 and 30, a woman is like Europe. Well developed and open to trade, especially for someone of real value.
Between 31 and 35, a woman is like Spain, very hot, relaxed and convinced of her own beauty.
Between 36 and 40, a woman is like Greece, gently aging but still a warm and desirable place to visit.
Between 41 and 50, a woman is like Great Britain, with a glorious and all conquering past.
Between 51 and 60, a woman is like Israel, has been through war, doesn't make the same mistakes twice, takes care of business.
Between 61 and 70, a woman is like Canada, self-preserving, but open to meeting new people.
After 70, she becomes Tibet . Wildly beautiful, with a mysterious past and the wisdom of the ages. An adventurous spirit and a thirst for spiritual knowledge.

THE GEOGRAPHY OF A MAN


Between 1 and 80, a man is like North Korea, ruled by a pair of nuts.

2014년 7월 15일 화요일

친구끼리는 먼 사촌과 같은 유전자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Do We Choose Our Friends Because They Share Our Genes?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이 친구가 될 확률이 높다. 그리고 그 취향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같기 때문에 친구끼리는 모르는 사람보다 유사한 유전자가 많다. 실제로 친구는 조부, 증조, 고조, 현조 까지 올라가면 함께 피를 나눈 가족과 같을 정도로 유전자가 유사하다. 인간의 진화는 나 홀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이루면서 친구와 함께 진화한 증거. 미국 UC SAN DIAGO의 의학유전학 교수와 YALE 대학의 사회과학자가 밝혀낸 유유상종의 유전학적 근거와 의미.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People often talk about how their friends feel like family. Well, there's some new research out that suggests there's more to that than just a feeling. People appear to be more like their friends genetically than they are to strangers, the research found.

"The striking thing here is that friends are actually significantly more similar to one another than we were expecting," says James Fowler, a professor of medical genetic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who conducted the study with Dr. Nicholas Christakis, a social scientist at Yale University.

In fact, the study in Monday's issue of th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found that friends are as genetically similar as fourth cousins.

"It's as if they shared a great- great- great-grandparent in common," Fowler told Shots.

Some of the genes that friends were most likely to have in common involve smell. "We tend to smell things the same way that our friends do," Fowler says. The study involved nearly 2,000 adults.

This suggests that as humans evolved, the ability to tolerate and be drawn to certain smells may have influenced where people hung out. Today we might call this the Starbucks effect.

"You may really love the smell of coffee. And you're drawn to a place where other people have been drawn to who also love the smell of coffee," Fowler says. "And so that might be the opportunity space for you to make friends. You're all there together because you love coffee and you make friends because you all love coffee."
They also found some interesting differences among friends: They tend to have very different genes for their immune systems. Other researchers have reported similar findings among spouses.

"One of the reasons why we think this is true is because it gives us extra protection. If our spouses have an immune system that fights off a disease that we're susceptible to, they'll never get it, and then we'll never get it," Fowler says. "And so it gives us an extra layer of protection."

"It's obvious that humans tend to associate with other people who are very similar to themselves," says Matthew Jackson, a professor of economics at Stanford University who studies social networks. "This gives us evidence that it's operating not just at a level of very obvious characteristics but also ones that might be more subtle — things that that we hadn't really anticipated."

Taken together, Fowler says the findings could help explain all sorts of things, including how relationships are driven by genetics and how that, in turn, may be influencing human evolution.

"I think the biggest implication is that evolution can't be studied as a Robinson Crusoe phenomenon. We didn't evolve isolated — separate from others. We evolved in communities. We evolved with our friends."

On a more personal level, it could help explain that cozy feeling we get with our friends.

"It's as if we were surrounding ourselves with a new family," Fowler says. "It's the family we chose, rather than the family we're born with."

by ROB STEIN/ NPR
July 14, 2014

2014년 7월 14일 월요일

Lake park in Virginia



empty bbq ground

Lake scene

trees reflections in the lake

bare trees in January
from the view deck


2014년 7월 12일 토요일

세계 식량부족 문제에 대한 유엔의 전화 설문조사 결과 (유머)

Last year, a world-wide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UN.  
The only question asked was:
"Would you please give your honest opinion about possible solutions to the food shortage in
the rest of the world?"

*The survey was a complete failure because:*

In Eastern Europe they didn't know what "honest" meant.

In Western Europe they didn't know what "shortage" meant.

In Africa they didn't know what "food" meant.

In China they didn't know what "opinion" meant.

In the Middle East they didn't know what "solution" meant.

In South America they didn't know what "please" meant.

In the USA they didn't know what "the rest of the world" meant.

And in Australia, New Zealand and Britain, everyone hung up as
soon as they heard the Indian accent.

 유엔이 작년에 전세계 회원국을 상대로 전화 설문조사를 했다. 질문은 단 한가지.
 "세계 다른 나라들식량 부족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이 무엇인지 솔직한 의견부디 알려 주시겠습니까?". 
조사결과는 완전한 실패였다.  그 이유는:

동구(동유럽) 나라들은 '솔직한'이란 말의 뜻을 몰랐고
서구(서유럽) 나라들은 '부족'이란 말 뜻을 몰랐고
아프리카 나라들은 '식량'의 뜻을 몰랐고
중국은 '의견'이 무슨 말인지 몰랐고
중동지역 국가들은 '해결책'의 뜻을 몰랐고
남미 국가들은 '부디'의 뜻이 생소했고
미국은 '세계 다른 나라들'이란 의미를 몰랐고
호주와 뉴질랜드와 영국은 전화 조사담당자의 인도영어 말투를 듣자마자 전화를 끊었기 때문이다.

2014년 7월 11일 금요일

프란치스코 교황, 성폭행 희생자들 접견, 교회의 잘못 용서 구해

2014 년 7월 7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에 영국, 독일, 아일랜드 출신 성폭행 피해신도 초청해 개별 면담. 성직자들의 성폭행을 '악마의 미사 집전'에 비유.

Pope Francis apologizes to victims of church sex abuse scandal



미국 가톨릭교회가 지금까지 신부의 성폭행 피해자들에게 배상한 금액만 해도
25억 달러. 전 세계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은 얼마나 될까?
 (이 천문학적인 교회 자금 -신도의 헌금-을 교회가 자선사업에 썼더라면 그리스도는 물론 신자들은 매우 기뻤을 것을)
종교는 전쟁을 야기할뿐만 아니라 인류에 해를 끼치고 있는 것일까?

2014년 7월 7일 월요일

식물도 들을 수 있다 (동물 처럼)


Can plants hear? In a study, vibrations prompt some to boost their defenses
Specimens responded to audio of caterpillar chewing

식물은 송충이가 자기 잎을 먹고 있는 소리를 들으면 잎의 맛을 쓰게 하는 화학물질을 생성해
더 많은 잎이 먹히지 않게 대응한다. 동물과 달리 뇌와 신경계가 없지만 식물은 잎의 세포막에 가해지는 압박감에 단백질이 반응하는 방법으로 (송충이가 잎을 쏠아 먹는)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끈끈이 주걱(일명 파리잡이 풀)이 주거안에 곤충이 들어오면 문을 닫아 먹어 치우고, 미모사는 잎에 접촉이 오면 오무라 드는 예 처럼 식물 중에는 물리적 동작이 가해지면 그에 반응하는 경우는 이미 알려져 있다. 또 식물은 빛과 온도에 항상 반응하고 있다. 하지만 식물이 소리를 감지한다는 것은 이번 실험에서 처음 밝혀졌다.
진화론적인 설명은 식물이 소리 (특히 자신의 잎을 먹어 해치는 애벌레의 소리)에 이처럼 반응하는 것이 생존을 위한 것, 적자생존의 원리에 따른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식물이 소리를 감지하는 것이 인류 사회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그 소리를 이용해 벼나 밀 등 곡물의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비용들고 독성있는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곡물 자체가 해충에 대한 자기 방어용 화학물질을 생성케 할 수있다면 건강에 좋은 식량의 증산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
(동물 식물 포함해 모든 생물의 조상은 하나? 거기서 서로 다른 진화의 길을 밟아와...)

 Through audio and chemical analysis, a University of Missouri study reveals that plants respond to sound with more defense if they detect a threat. (Roger Meissen, Nathan Hurst)

Plants can sense and react to temperature changes, harsh winds, and even human touch. But can they hear?

They have no specialized structure to perceive sound like we do, but a new study has found that plants can discern the sound of predators through tiny vibrations of their leaves — and beef up their defenses in response.

It is similar to how our own immune systems work — an initial experience with insects or bacteria can help plants defend themselves better in future attacks by the same predator. So while a mustard plant might not respond the first time it encounters a hungry caterpillar, the next time it will up the concentration of defense chemicals in its system that turn its once-delicious leaves into an unsavory, toxic meal.

Now, biologists from the University of Missouri have found that this readying process, called “priming,” can be triggered by sound alone. For one group of plants, they carefully mimicked what a plant would “hear” in a real attack by vibrating a single leaf with the sound of a caterpillar chewing. The other group was left in silence.

When later faced with a real caterpillar, the plants that heard chewing noises produced a greater amount of insecticide-like chemicals than the silence group. They also seemed able to pick out those vibrations signaling danger; playing wind noises or insect mating calls did not trigger the same chemical boost.


A cabbage butterfly caterpillar eats an Arabidopsis plant. On an adjacent leaf, a piece of reflective tape helps record vibrations. (Roger Meissen)

Although the mechanism of how plants can discern sounds is not known, a deeper investigation could lead to advances in agriculture and natural crop resistance — as opposed to spraying costly and harmful pesticides.


“We can imagine applications of this where plants could be treated with sound or genetically engineered to respond to certain sounds that would be useful for agriculture,” said study author and biologist Heidi Appel.

The study was published online Tuesday in the journal Oecologia.

Despite not having brains or nervous systems in the traditional sense, plants are surprisingly sophisticated.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ignal impending danger to their neighbors by releasing chemicals into the air. Plants constantly react to their environment — not only light and temperature changes, but also physical stimuli.

Two famous examples are the Venus’ flytrap, which snaps shut when an unsuspecting bug contacts one of its trigger hairs, and the touch-me-not plant (Mimosa pudica), which shrinks and closes its leaves upon even a slight touch.

“Plants certainly have the capacity to feel mechanical loads,” said plant biologist Frank Telewski, who was not involved in the research. “They can respond to gravity, wind, ice or an abundance of fruit.”

But trying to prove that plants can sense sound has been difficult.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researchers Heidi Appel and Rex Cocroft found that plants respond to the sounds that caterpillars make when eating nibbling on their leaves. (Roger Meissen)

“There is a long history of people interested in whether plants could hear sound, and that usually involved sounds that are very salient to us — music or tones of pure sound — just to see if plants would react,” said study author and biologist Reginald Corcroft.

Even though some swear that a soothing voice or classical music works wonders for their greenery, the scientific evidence is spotty. Experts believe that music in particular is too complex and varied to be able to use in a controlled study.

When pure tones are played, some experiments have seen changes in plant growth, germination or gene expression. For instance, one recent study showed that young roots of corn will grow toward an auditory source playing continuous tones and even responded better to certain frequencies.

But what would be the evolutionary advantage of responding to such stimuli?

One argument against plants perceiving sound is that being able to pick up on the music of Beethoven or a solid note has no bearing on a plant’s well-being — but the leaf-chomping of a nearby insect certainly does.

“None of the sounds used before are things that are ecologically relevant sounds in the plant environment,” Appel said.

Although it has not been proved, the suspicion is that plants can perceive sound through proteins that respond to pressure found within their cell membranes. Sound waves cause their leaves to vibrate ever so slightly, causing the plant to respond accordingly.

Because chewing insects produce high-amplitude vibrations that travel rapidly to other parts of a plant,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record the fine movement of a leaf during a caterpillar feeding episode using a laser tracking system. They then played back the recording to a group of 22 Arabidopsis plants, related to mustard and cabbage, that had not been exposed to caterpillars before.

Appel then placed real caterpillars on the leaves of the group to feed. After waiting a day or two for the plants to mount their defenses, she measured the chemistry of their leaves for insecticide-like chemicals called glucosinolates — the same substance that gives mustard its kick. If eaten in large doses, however, it becomes toxic.

Not only was the concentration of glucosinolates higher than a control group, but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and how strong the vibrations were. If the leaf moved a greater amount during playback, they saw more of the chemical being produced by the plant.

To see if a plant would react to any type of sound, the researchers tried playing a leafhopper mating call or blowing wind. In response to these, it did not appear to put up extra defenses.

Telewski, a tree expert who investigates perception of mechanical stimuli in plants, believes this work showcases a possible evolutionary advantage of perceiving sound: “I’m very impressed with the study — it’s very nice.”

He wonders if other plants not being attacked could pick up on the vibration as an auditory SOS-type signal, since plants have been known to use airborne chemical signals in the same way. If the alarm can spread efficiently through a field, say, sound could potentially be harnessed in agriculture to ward off predators.

“It might be practical to see how loud you would have to play speakers in a field to get plants geared up to fight against an insect,” he said. “This might be one way to fight off an insect attack without spending a lot of money on pesticides.”

Biochemist Janet Braam, who was also not involved in the study, finds the results intriguing.

“Testing whether similar results are obtained for other plant-insect interactions will be important next steps to understand how broadly applicable this phenomenon may be,” said Braam said.

By Meeri Kim July 6, 2014 (The Washington Post)
Kim is a freelance science journalist based in Philadelphia.

2014년 7월 4일 금요일

"나만을 위해 사는 건 작게 사는 것, 나와 너를 위해 사는 건 크게 사는 것" -대해 스님


 


서울 도곡동 조계종 국제선원에서 선원장 대해(大海·55)  스님을 14일 만났다. 그의 안목은 각별하다. 불법(佛法)의 정수리를 관통하는 통찰이 담겨 있다. 80편에 달하는 단편영화 연출과 대안 교과서 제작, 불교경전의 한글화 등 다양한 작업을 통해 삶의 이치, 우주의 이치를 풀어내는 대해 스님은 불교계가 주목하는 선지식(善知識)이기도 하다. 그에게 ‘세월호’를 물었다.

- 세월호 참사, 어떻게 보나

 “세월호만 세월호가 아니다. 지금까지도 세월호가 있었고, 이 순간에도 세월호가 있다. 종류와 크기가 다를 뿐이다. 세월호 참사는 온 국민이 경험한 비극이다. 파헤치지 않으면 안 됐고, 그래서 파헤쳐졌을 뿐이다. 우리 주위를 봐라. 그동안 묻혀 있던 크고 작은 세월호가 얼마나 많은가.”

 -크고 작은 세월호라니.

  이 물음에 대해 스님은 “오늘 아침에 뭘 타고 출근했나?”라고 되물었다. “그게 세월호다. 내가 타는 버스와 지하철, 승용차가 세월호다. 우리는 매일 그 세월호를 타고 있다. 그러니 이번 참사가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지 깊이 절감해야 한다.”

 - 그토록 많은 세월호가 있었는데 왜 지금껏 바꾸지 못했나.

 “마음이 없었던 거다. 진짜로 이걸 해결하려는 마음이 그동안 없었던 거다. 그게 있었다면 이미 바뀌었다. 이번 참사도 시간이 지나면 잊혀질지 모른다. 참 답답한 일이지만 사람들은 모르더라. 내가 출퇴근 때 타는 게 다름 아닌 세월호라는 사실을 말이다.”

 -내가 운전하는 승용차가 세월호란 말인가.

 “당신이 바로 그 세월호의 선장이다. 출근길 풍경을 자세히 살펴보라. 불법 유턴하고, 신호 무시하고, 횡단보도를 막 가로지르지 않나. 그러다 침몰하는 거다. 세월호는 멀리 있지 않다. 가슴에 손을 얹고 물어보라. 나는 어떤 선장인가.”

 대해 스님은 영화를 제작한다. 영상에 익숙한 현대인에게 불법(佛法)을 전하기 위한 방편이다. 해외에서 열린 국제단편영화제에서 수상한 경력만 38회나 된다. “지난번에 영화를 찍는데 카메라를 든 사람이 전봇대에 올라가 촬영을 하려고 하더라. ‘사람이 다치면 안 된다’고 말렸더니 ‘괜찮다. 사고가 나면 우리가 책임지면 된다’고 대답하더라. 사람들의 관심은 ‘사람의 생명’이 아니라 ‘누가 손해를 보고, 누가 이익을 보느냐’였다.” 그게 우리의 ‘자화상’이라고 했다.

 -세월호도 그런가.

 “똑같다. 승객들 생명보다 자신의 이익을 더 챙겼다. 해운사는 과적하고, 공무원은 허락하고, 선장은 도망쳤다. 다들 남의 생명을 무시한다. 자기 이익만 바라본다.”

 -왜 그런가.

 “한국 사회에 ‘평형수’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균형을 잡고 방향을 정하는 평형수가 없어서 그렇다.”

 -우리 사회의 평형수라면.

 “고려시대에는 불교적 가치관이 있었다. 조선은 유교적 가치관이 있었다. 그게 시대마다 평형수 역할을 했다. 그런데 요즘은 어떤가. 탈국가·탈민족시대다. 가치관이 사라졌다. 주위를 보라. 사람들이 무엇을 위해 달리나. 다들 돈을 위해 달린다. 그러니 자기 이익만 챙긴다. 우리가 그런 배를 타고 있다. 평형수 없는 세월호 말이다.”

 -왜 평형수가 없나. 왜 가치관이 없나.

 “문제의 첫 단추는 교육이다. 우리는 물음을 던지지 않는다. 거기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 신도 중 한 엄마가 와서 하소연을 하더라. 늘 ‘공부해라, 공부해라’ 하는데 아이가 공부를 안 해서 힘들다고 했다. 제가 물었다. ‘아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느냐?’ 대답을 못 하더라. 막연히 특목고 가야 하니까, 막연히 1등 해야 하니까. 엄마도 이유를 모르고, 아이도 이유를 모르더라.”

 - 그 이유를 알면.

 “그럼 달라진다. 내가 왜 이걸 하고,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게 된다. 컴퓨터를 새로 사면 사용설명서를 익히지 않나. 그래야 제대로 쓴다. 삶도 그렇다. 제대로 쓰려면 설명서를 익혀야 한다. 그게 공부다. 공부는 삶에 필요한 설명서를 익히는 기간이다. 그걸 익혀야 사회에 나가 사람들과 주고받으며 게임을 할 수 있다. 아이들이 그걸 이해하면 공부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 필요성을 느끼고 목적성을 갖는다.”

  대해 스님은 그게 바로 ‘존재 이유’라고 했다. 세월호에는 그게 없었다고 했다. “선장이 평소에 그걸 물었다면 그렇게 도망쳤겠나. 내가 왜 선장이 됐는가. 내가 왜 해경이 됐는가. 내가 왜 공무원이 됐는가. 그 이유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방향성이 생기고 가치관이 생긴다. 그래야 자기 목숨이 걸린 위기 상황에서도 행동이 나간다. 그런 가치관이 자기 삶의 평형수가 되고. 우리 사회의 평형수가 되는 거다.”

 -왜 다들 자신만 챙기나.

 “사람들은 자기가 먹을 채소에는 농약을 안 친다. 그걸 1이라고 하자. 그럼 나머지 99는 어떡하나. 자기도 농약 친 걸 사 먹어야 한다. 그런데 자신이 먹을 것도, 남이 먹을 것도 농약을 안 친다고 생각해 보라. 그럼 모든 사람이 무농약 채소를 100만큼 먹게 된다. 그게 세상의 존재 원리다. 정말 나를 지키고 싶은가. 그럼 남을 지켜줘야 한다. 서로가 서로를 지켜주는 거다. 왜 그렇겠나. 나와 전체가 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게 ‘불이(不二)’다. 그걸 알아야 나도 살리고 너도 살린다. 우리가 더 크게 사는 법이다.”

 -국민도, 대통령도 ‘국가 개조’를 말한다.

 “소는 이미 잃었다. 그래도 외양간은 고쳐야 한다. 개인이든, 국가든 뜯어고치려면 방향성이 있어야 한다. 방향성이 있을 때만 올바른 개조가 가능하다. 그게 가치관이다. 그 가치관이 우리 사회의 평형수가 돼야 한다.” 대해 스님은 20년 전부터 청소년·청년을 대상으로 삶의 평형수를 찾 는 교육을 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아픔이 크다.

 “자식이 죽었다. 그 아픔이 얼마나 크겠나. 누군가 옆에서 힘이 나게 도와줄 수는 있을 거다. 치유는 쉽지 않다. 눈에 보이는 건 결국 사라진다. 그걸 깊이 이해하고, 깊이 깨달아야 한다. 그럴 때 자식 잃은 슬픔이 삶의 에너지로 치환될 수 있다. 인간의 삶이 결국 세월호다. 우리는 되물어야 한다. 내 삶의 평형수가 뭔가. 또 나의 삶은 우리 사회의 평형수로 작동하고 있는가.”

글=백성호 기자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대해(大海) 스님=1959년생. 불교 조계종 국제선원 선원장. 약 80편의 단편영화를 제작 한 비구니 스님이다. 작품 중 일부가 현재 BTN불교TV에서 ‘영화 불국토’로 방영되고 있다.
중앙일보 5/20/14    

2014년 7월 3일 목요일

TED talks by Sebastian Junger: Why veterans miss war


생사의 고비를 여러차례 넘기고 전쟁터에서 돌아온 젊은 병사들이 그 전쟁을 그리워한다?
그리워하는 건 '전쟁' '전투' 그 자체가 아니라 전장에서 전우의 생명을 자기 생명보다 더 우선적으로 여기는 '전우애'라는 것이다. 막상, 군복 벗고 사회로 나온 젊은이들은 주위 사람들로 부터 전쟁터에서 서로 보호해주는 전우애에 버금갈 신뢰와 믿음과 사랑을 찾지 못한다는 그 공포가 전쟁터의 총탄보다 더 견디기 어려워.

2014년 7월 2일 수요일

Why we should trust scientists? (TED talks)

Naomi Oreskes

왜 우리는 과학자들을 믿어야 하는가? (과학사 학자 네이오미 오리스키스)
Many of the world's biggest problems require asking questions of scientists — but why should we believe what they say? Historian of science Naomi Oreskes thinks deeply about our relationship to belief and draws out three problems with common attitudes toward scientific inquiry — and gives her own reasoning for why we ought to trust science.

TEDTalks is a daily video podcast of the best talks and performances from the TED Conference, where the world's leading thinkers and doers give the talk of their lives in 18 minutes (or less). Look for talks on Technology, Entertainment and Design -- plus science, business, global issues, the arts and much more.

2014년 7월 1일 화요일

Segway Tour in Washington, DC, USA


국회의사당




백악관 앞 잔디광장

백악관과 관광객들

백악관 건너편의 워싱턴 기념비

베트남전 기념비와 참전용사 동상




링컨 기념관 옥상 위의 비행기

워싱턴 기념비 배경으로  주행하는 세그웨이 라이더

2차대전 기념비와 링컨 기념관을 배경으로

Segway PT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egwaygreen.jpgThe Segway PT is a two-wheeled, self-balancing, battery-powered electric vehicle invented by Dean Kamen. It is produced by Segway Inc. of New Hampshire, USA. The name Segway is a homophone of the word segue, meaning smooth transition. PT is an abbreviation for personal transporter.

Computers and motors in the base of the device keep the Segway PT upright when powered on with balancing enabled. A user commands the Segway to go forward by shifting their weight forward on the platform, and backward by shifting their weight backward. The Segway detects, as it balances, the change in its center of mass, and first establishes and then maintains a corresponding speed, forward or backward. Gyroscopic sensors and fluid-based leveling sensors detect the weight shift. To turn, the user presses the handlebar to the left or the right.

Segway PTs are driven by electric motors and can reach a speed of 12.5 miles per hour (20.1 km/h).